오즈카지노

정관장, 대전하나 그리고 한화이글스…"이렇게 좋을수가" 대전이 들썩

9연승 한화 프로야구 선두, 대전하나 첫 K리그 1위
'역대급 봄배구' 펼친 여자배구 정관장도 감동 선사

7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신한 SOL 뱅크 KBO리그'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와 삼성라이온즈 경기에서 한화 팬들이 9연승을 앞두고 환호하며 응원을 펼치고 있다. 2025.5.7/뉴스1 ⓒ News1 김기남 기자

(서울=뉴스1) 임성일 스포츠전문기자 = 2000년 이전까지 전북현대라는 팀은 K리그 하위권을 전전하는 그저 그런 팀이었다. 그때까지 전북현대의 연고지 전주는, '축구'보다는 비빔밥과 콩나물국밥이 더 빨리 연상되는 '양반의 도시'였다.

하지만 2005년 '봉동이장' 최강희 감독이 지휘봉을 잡은 뒤 확 달라졌다. 2009년 처음으로 K리그 정상에 오른 전북은 사상 첫 5연패를 포함, 통산 9회 최다 우승클럽으로 우뚝 섰다. 그 빛나는 시간을 거치면서 전주는 '축구의 도시'라는 이미지가 생겼다.

이처럼 '연고지' 입장에서 지역에 뿌리 내리고 있는 프로구단의 활약은 중요할 수밖에 없다. 성적에 따라 도시 분위기가 달라진다. 지난해 KIA 타이거즈가 7년 만에 통합 우승을 차지하면서 광주가 축제의 장으로 달아올랐고, 울산 HD가 전북현대 아성을 무너뜨리고 K리그 3연패를 달성하면서 축구 도시 울산의 자존감을 드높일 수 있었다.

2025년 봄. 그런 혜택을 누리는 지역은 단연 대전이다. 대전에 터 잡고 있는 야구팀, 축구팀, 배구팀이 동시다발적으로 잘하고 있는데, 전례가 없던 일이다. 출발은 여자배구 정관장이었다.

6일 오후 대전 중구 충무체육관에서 열린 프로배구 '2024-2025 도드람 V리그' 여자부 챔피언결정전 4차전, 정관장과 흥국생명의 경기에서 5세트 접전 끝에 승리하며 승부를 원점으로 만든 정관장 선수들이 기뻐하고 있다. 2025.4.6/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대전 충무체육관을 안방으로 쓰는 정관장은 지난 4월 초 막을 내린 V리그 여자부 챔피언결정전에서 팬들에게 큰 감동을 안겼다.

결승전을 앞두고 모든 스포트라이트는 '김연경의 라스트댄스'에 맞춰졌다. 이미 올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한 '배구여제'가 트로피를 품고 웃으면서 코트를 떠날 수 있느냐가 관전 포인트였고, 때문에 정관장은 괜스레 '악역'이나 '조연' 느낌이 강했다.

흥국생명이 인천에서 열린 1, 2차전을 연달아 잡을 때만해도 '김연경 대관식'을 다 같이 준비하는 흐름이었다. 그런데 대전으로 자리를 옮긴 3, 4차전에서 정관장이 믿기지 않는 투혼으로 시리즈 전적 2승2패를 만들자 분위기가 바뀌었다.

홈팬들 앞에서 놀라운 정신력을 보이던 정관장을 향한 박수소리가 점점 커졌고, 그들도 동등한 주연으로 마지막 무대를 누볐다. 비록 5차전 풀세트 끝 트로피는 흥국생명이 가져갔으나 정관장은 결코 패자가 아니었다.

2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하나은행 K리그1 2025 3라운드 대전하나시티즌과 수원FC의 경기, 대전 주민규가 결승골을 넣은 뒤 동료들과 환호하고 있다. (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2025.3.2/뉴스1

정관장 기운을 받아 대전월드컵경기장을 홈으로 쓰는 대전하나시티즌의 시즌 초반 맹활약도 대전의 축구 팬들을 흥분시키고 있다.

황선홍 감독이 이끄는 대전하나는, 2부에 머문 시간이 많았던 팀이다. 2015년 K리그1 최하위로 2부리그로 강등된 후 2022년까지 7시즌 동안 승격하지 못했다. 심지어 2017년은 K리그2 꼴찌인 10위, 2019년에는 9위에 그쳤다. 복귀한 뒤에도 '살아남기'에 급급했다. 2023시즌과 지난해 대전의 순위는 모두 8위였다.

승강제가 있기 전에도 대전은 순위표 아래서 찾는 것이 빨랐다. 1997년 프로무대에 뛰어든 대전의 정규리그 최고 성적은 2003년과 2007년의 6위다. 창단 후 우승은 김은중, 이관우 등이 활약하던 2001년 FA컵(코리아컵 전신)이 유일하다. 그런 대전이 현재 K리그1 선두다.

개막과 동시에 4승1패로 치고 나간 대전은 4월부터 선두에 올라 9일(8승3무2패 승점 27)까지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프로축구연맹에 따르면, 시즌 중이라도 K리그1에서 대전이 선두에 오른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축구특별시 대전'이라는 표현이 다시 등장하는 배경이다.

7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신한 SOL 뱅크 KBO리그'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와 삼성라이온즈 경기에서 한화 문동주가 6회초 무사 1,2루에서 무실점 호투하며 환호하고 있다. 2025.5.7/뉴스1 ⓒ News1 김기남 기자

현재 대전 스포츠팬들의 최고 행복은 역시 KBO리그 한화 이글스의 승승장구다. 한화는 7일 대전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삼성 라이온즈와의 2025 신한 SOL뱅크 KBO리그 홈 경기에서 문동주의 역투를 앞세워 10-6으로 이겼다.

이 승리로 한화는 20년 만에 9연승을 질주하며 단독 선두로 올라섰다. 개막 30경기 이상 기준, 한화가 단독 선두에 오른 것은 2007년 5월31일부터 6월2일까지 이후 18년 만이다.

명장 김경문 감독과 함께하는 두 번째 시즌이자 본격적인 첫 시즌인 2025년, 한화이글스를 향한 기대는 컸다. 새로운 구장 대전한화생명볼파크에서의 새 출발이라 더더욱 조명이 향했다. 하지만 시작은 좋지 않았다. 지난달 9일까지도 그들의 순위는 최하위 10위였다. 그런데 한 달 만에 확 바뀌었다.

한화는 4월9일 두산전부터 5월7일 삼성전까지 23경기에서 무려 20승(3패)을 쓸어 담으며 순위표를 뒤집어 버렸다. 이 기간 한화의 승률은 0.870이고 9연승과 8연승이 한 차례씩 있었으니 그야말로 파죽지세였다. 그동안 다른 팀 팬들로부터 '성불'이라 위로 받던 대전의 야구 팬들이 오랜만에 봄다운 봄을 누리고 있다.

8일 꿀맛 같은 휴식을 취한 선두 한화이글스는 9일 최하위 키움 원정에서 10연승에 도전한다. 승리하면 26년 만의 쾌거다. 한화는 1999년 9월 24일 현대 유니콘스전부터 10월 5일 삼성전까지 10연승을 거둔 바 있다. 그해는 대전의 프로야구팀이 지금껏 유일하게 한국시리즈 정상에 선 때다.

lastuncle@izsli.shop

더킹카지노 예스카지노 헤븐카지노 타이틀카지노 fm카지노